Computer Engineering/프로그래밍 언어론
[프로그래밍 언어론] 1. 프로그래밍 언어의 개요
Js0l
2025. 4. 12. 09:00
1. 언어의 기본 이해
프로그래밍 언어란 무엇인가?
Q. 왜 굳이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워야 하나?
A.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면,
- 표현력 향상: 언어는 사고의 도구 -> 더 강력한 언어 = 더 복잡한 문제 해결 가능
- 언어 선택 능력: 상황에 맞는 언어를 잘 고를 수 있게 된다.
- 새 언어도 쉽게 습득 가능: 개념을 알면 새로운 문법도 빨리 이해한다.
- 기존 언어도 더 잘 쓴다: 예전에 몰랐던 기능도 활용 가능해진다.
- 컴퓨터의 작동 원리도 더 깊이 이해: 구현 방식, 메모리 구조 등까지 알게 된다.
2. 중요) 언어평가 기준
Expressiveness 표현성 | Maintainability 유지보수성 | Executability 효율성 | |
Writability 작성력 | O | O | |
Readability 가독성 | O | ||
Efficiency 효율성 | O | ||
Reliability 강건성 | O | ||
Portability 이식성 | O | O |
3. 언어 설계의 Trade-off
선택한 설계 | 얻는 것 | 잃는 것 |
Java: 배열 인덱스 검사 O | 신뢰성 ↑ | 성능 ↓ |
APL: 복잡한 배열 표현 | 작성 용이성 ↑ | 가독성 ↓ |
C++: 포인터 허용 | 유연성 ↑ | 안정성 ↓ |
4. 언어 설계에 미치는 영향
- 컴퓨터 아키텍처: 폰노이만 구조 -> 명령형 언어 발전에 영향 : 명령어, 메모리, 연산방식이 언어 구조를 결정
5. 프로그래밍 언어 분류
- 명령형
- 함수형
- 논리형
- 객체지향
6. 프로그래밍 환경의 변화
: 개발 환경도 언어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다.
- 초창기: 텍스트 편집기 + 컴파일러 + 파일 시스템
- 지금: VS Code, PyCharm 같은 통합 개발 환경 (IDE)
- 언어만 좋다고 끝나는게 아니라, tool도 좋아야 개발자 생산성 높아진다.